2025년에도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부 및 지자체 프로그램이 풍성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혼동되는 두 가지가 바로 👉 청년도약계좌와 희망 2배 청년 통장입니다.
한눈에 보는 핵심 차이표
항목 청년도약계좌 희망 2배 청년 통장
주관 | 정부(기재부) | 서울시 |
대상 지역 | 전국 | 서울시 거주자 |
지원 방식 | 정부 보조금 + 비과세 이자 | 서울시 1:1 매칭 저축 |
월 납입액 | 40만~70만 원 | 10만~15만 원 |
지원 기간 | 5년 | 최대 3년 |
만기 수령액 | 최대 5,000만 원 내외 | 최대 약 1,080만 원+이자 |
신청 자격 | 근로소득 있는 만 19~34세 청년, 중위소득 180% 이하 | 서울 거주 만 18~34세 청년, 중위소득 120% 이하 |
신청 시기 | 연중 상시 (은행 통해) | 연 1회 정기 모집 (6~7월) |
해지 시 혜택 | 일부 보조금 회수됨 | 서울시 지원금 전액 회수 |
제도별 개요 상세 비교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 정책형 금융 상품입니다.
매달 최대 70만 원까지 저축하면,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보조금과 비과세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전국 모든 청년 대상
- ✔ 은행 앱 또는 방문으로 손쉽게 가입
- ✔ 자유로운 납입 & 중도 인출 가능
- ✔ 보조금은 최대 3년간, 이자 비과세는 5년간 적용
2️⃣ 희망 2배 청년 통장이란?
서울시가 주관하는 청년 자산형성 지원 사업입니다.
청년이 매달 10~15만 원씩 3년간 저축하면, 서울시가 같은 금액을 1:1 매칭하여 지원해 줍니다.
- ✔ 서울시 거주 청년만 신청 가능
- ✔ 지정된 기간(6~7월) 내 오프라인 신청 필수
- ✔ 근로소득 증빙 필요
- ✔ 지정 사용처 제출 후 수령 가능 (창업, 주거 등)
나에게 맞는 상품은?
나의 상황 추천 제도
서울 외 지역 거주 | 청년도약계좌 |
높은 저축 가능금액 (월 40만원 이상) | 청년도약계좌 |
비교적 소득이 낮고 자산형성 시작 단계 | 희망 2배 청년 통장 |
단기 자립자금 필요 (3년 이내) | 희망 2배 청년 통장 |
신청 간편성 중요 (앱 가입 희망) | 청년도약계좌 |
🔍 예시 시나리오
- A씨(서울 거주, 소득 월 180만 원, 직장 1년 차) → 희망 2배 청년 통장 추천
- B씨(부산 거주, 월 300만 원 저축 여력) → 청년도약계좌가 유리
두 제도, 중복 가입 가능할까?
안 됩니다.
희망 2배 청년 통장은 중복 신청이 불가하고,
청년도약계좌는 다른 자산형성 통장과 정부 지원금 중복 수령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핵심 요약 정리
구분 청년도약계좌 희망 2배 청년 통장
누적 최대 금액 | 약 5천만 원 | 약 1천만 원 |
대상 지역 | 전국 | 서울시 |
신청 방식 | 비대면 가능 | 오프라인 신청 |
용도 제한 | 자유 사용 가능 | 용도 제한 있음 (자립 목적) |
장점 | 고수익+비과세 | 매칭 방식으로 안정성 높음 |
단점 | 고정 저축 부담 큼 | 신청 시기 제한, 경쟁률 높음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마무리 한 줄 요약
“장기 목돈이면 청년도약계좌,
단기 자립자금이면 희망 2배 청년 통장!”
자신의 거주지, 소득, 저축 여력, 목적 자금 시점을 고려하여
올해는 꼭 자산 형성의 첫 단추를 잘 끼워보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