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정책 공간

청년도약계좌 vs 희망 2배 청년 통장 완벽 비교! (2025년 기준)

팜의 공간 2025. 6. 11.

2025년에도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부 및 지자체 프로그램이 풍성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혼동되는 두 가지가 바로 👉 청년도약계좌희망 2배 청년 통장입니다.

 

 

 


한눈에 보는 핵심 차이표

항목 청년도약계좌 희망 2배 청년 통장

주관 정부(기재부) 서울시
대상 지역 전국 서울시 거주자
지원 방식 정부 보조금 + 비과세 이자 서울시 1:1 매칭 저축
월 납입액 40만~70만 원 10만~15만 원
지원 기간 5년 최대 3년
만기 수령액 최대 5,000만 원 내외 최대 약 1,080만 원+이자
신청 자격 근로소득 있는 만 19~34세 청년, 중위소득 180% 이하 서울 거주 만 18~34세 청년, 중위소득 120% 이하
신청 시기 연중 상시 (은행 통해) 연 1회 정기 모집 (6~7월)
해지 시 혜택 일부 보조금 회수됨 서울시 지원금 전액 회수

제도별 개요 상세 비교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 정책형 금융 상품입니다.
매달 최대 70만 원까지 저축하면,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보조금과 비과세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전국 모든 청년 대상
  • ✔ 은행 앱 또는 방문으로 손쉽게 가입
  • 자유로운 납입 & 중도 인출 가능
  • ✔ 보조금은 최대 3년간, 이자 비과세는 5년간 적용

2️⃣ 희망 2배 청년 통장이란?

서울시가 주관하는 청년 자산형성 지원 사업입니다.
청년이 매달 10~15만 원씩 3년간 저축하면, 서울시가 같은 금액을 1:1 매칭하여 지원해 줍니다.

  • 서울시 거주 청년만 신청 가능
  • ✔ 지정된 기간(6~7월) 내 오프라인 신청 필수
  • ✔ 근로소득 증빙 필요
  • 지정 사용처 제출 후 수령 가능 (창업, 주거 등)

나에게 맞는 상품은?

나의 상황 추천 제도

서울 외 지역 거주 청년도약계좌
높은 저축 가능금액 (월 40만원 이상) 청년도약계좌
비교적 소득이 낮고 자산형성 시작 단계 희망 2배 청년 통장
단기 자립자금 필요 (3년 이내) 희망 2배 청년 통장
신청 간편성 중요 (앱 가입 희망) 청년도약계좌

🔍 예시 시나리오

  • A씨(서울 거주, 소득 월 180만 원, 직장 1년 차) → 희망 2배 청년 통장 추천
  • B씨(부산 거주, 월 300만 원 저축 여력) → 청년도약계좌가 유리

두 제도, 중복 가입 가능할까?

안 됩니다.
희망 2배 청년 통장은 중복 신청이 불가하고,
청년도약계좌는 다른 자산형성 통장과 정부 지원금 중복 수령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핵심 요약 정리

구분 청년도약계좌 희망 2배 청년 통장

누적 최대 금액 약 5천만 원 약 1천만 원
대상 지역 전국 서울시
신청 방식 비대면 가능 오프라인 신청
용도 제한 자유 사용 가능 용도 제한 있음 (자립 목적)
장점 고수익+비과세 매칭 방식으로 안정성 높음
단점 고정 저축 부담 큼 신청 시기 제한, 경쟁률 높음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마무리 한 줄 요약

“장기 목돈이면 청년도약계좌,
단기 자립자금이면 희망 2배 청년 통장!”

 

자신의 거주지, 소득, 저축 여력, 목적 자금 시점을 고려하여
올해는 꼭 자산 형성의 첫 단추를 잘 끼워보시길 바랍니다 


댓글